대중교통을 이용 중이라면 교통비를 환급받을 수 있는 K-패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목차
K-패스란?
한달에 15회 이상 이용한 대중교통 비용 중 일정 비율*을 환급해 주는 국가지원사업
*일반 20%, 청년(19세-34세) 30%, 저소득 53%
지원 대상
K-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역*에 주민등록상 등록된 만 19세 이상 주민
*서울, 경기전역, 인천/대전/대구/울산/부산/광주광역시 전역, 세종전역, 충남/충북전역, 경남전역, 제주전역
*강원 일부(춘천,강릉,원주,양양,홍천,동해,삼척,태백,횡성,영월)
*경북 일부(포항,경주,영주,김천,영천,구미,상주,칠곡,경산,안동)
*전북 일부(전주,완산,익산,남원,군산,정읍)
*전남 일부(무안,순천,신안,목포,여수,해남,광양,나주,담양,장성)
지급 기준
1)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지급(월 60회 초과의 경우 이용 금액이 높은 순으로 60회 까지 지급)
2) 한달 대중교통비가 20만원이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과이용금액의 50%만 적용하여 지급(경기, 인천 미해당)
K-패스 신청 방법
1)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
-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K-패스 회원전환시 사용 중인 알뜰교통카드 및 계정 그대로 K-패스에서 이용 가능
2) K-패스 카드 신규 가입
-K-패스 카드를 발급 받고 K-패스 회원가입 진행 (회원가입은 K-패스 앱 또는 K-패스 홈페이지에서 가능)
-회원가입 시, 발급받은 카드번호와 주민번호가 필요하며 거주지 등의 정보 까지 입력 하면 가입이 완료(저소득층 여부는 회원가입시 입력한 정보를 통해 확인됨)
-카드는 여러 은행사에서 발급이 가능하며 'K-패스 홈페이지>K-패스 카드소개 '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.
*모바일 카드 등록 시 환급을 위해 결제 방식을 '후불'로 선택해 주셔야 합니다.
환급금
- 대중 교통 이용 시 K-패스 카드를 사용하면 카드사에 따라 '계좌입급' 또는 '결제금액차감' 을 통해 자동환급이 진행
- 환급금액 조회는 실시간으로 조회되지 않으며, 대중교통이용 최대 14일 이후에 K-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조회가능
기후동행카드와 K-패스카드
한 달 대중교통비와 사용횟수에 따라 혜택이 큰 카드가 달라지기 때문에 두 카드 이용시 할인 받는 금액을 계산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.
예시) 청년기준 월 대중교통비 7만원
기후동행카드=월 15,000원 할인(따릉이 미사용 기준)
K-패스카드=월 21,000원 할인(70,000*0.3)
--> 이 경우, 기후동행카드 보다 K-패스 카드를 이용하는게 더 큰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.
금액적인 부분 뿐만 아니라, 서울시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기후동행카드와 달리 K-패스카드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카드이기 때문에 서울이외의 지역에 거주 중이거나, 서울과 타지역에서의 이동이 잦은 분들이 이용 해 볼 수 있을 것 같네요.
'정부지원사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중장년 기술창업센터 지원사업: 40대 이상 창업자를 위한 완벽 가이드 (0) | 2025.01.27 |
---|---|
2025 행복주택 자격조회 및 신청방법 알아보기! (0) | 2025.01.26 |
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(0) | 2025.01.19 |
노후에 긴급자금이 필요하다면? 실버론! (3) | 2024.11.04 |
2025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신청방법 및 조건 (5) | 2024.11.02 |